행정안전부는 복지·안전서비스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서울 동대문구 등 16개 지자체에 인공지능 전화기반 위기가구 모니터링 사업을 지원한다고 24일 밝혔다.
행안부는 네이버·SKT·지자체와 상담시나리오를 개발해 4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모니터링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지자체는 독거노인뿐만 아니라 초기상담에도 서비스를 신청하지 않은 사람 가운데 관리가 필요한 대상을 선정한다. 안전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서다. AI 전화로 안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응답을 분석, 이상이 있다면 공무원이 대응에 나선다.
또 복지혜택·위기상황대처 안내, 후원물품 신청 등의 업무를 AI가 대신해 공무원 업무부담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구본근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장은 "1인가구·고령화로 복지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지자체가 AI를 활용해 주민 한 명까지 세심히 살필 수 있게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대성 기자
safechoi1126@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