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 성분이 들어간 감기약·수면제·다이어트약 등 불법 의약품이 급증하며 국내 반입 규모가 4년 만에 43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관세청에 따르면 마약류 함유 불법의약품 반입 규모는 2020년 885g에서 지난해 3만7688g으로 43배가량 늘었다.
같은 기간 불법의약품 반입 사범도 2020년 19명 대비 13배 증가한 252명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2월 말 기준 65건(1만1854g)이 적발되며 전년 동기간 대비 건수 3.8배, 규모 5배 이상 증가했다.
관세청은 마약류 성분이 든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진통 효과를 위해 구매했다 불법 의약품에 중독되는 폐해가 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불법 의약품을 대체 마약으로써 악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점도 수요 증가 요인으로 지목했다.
불법 의약품에서 검출된 마약류 성분은 코데인·덱스트로메토르판·알프라졸람·졸피뎀 등 10종이다.
반입 경로를 보면 불법 감기약은 한국·베트남·스리랑카 국적의 국내 거주자들이 특송이나 우편을 통해 들여오는 경우가 많았다.
불법 수면제는 한국과 중국 국적 여행자가 미국·중국·일본 등지에서 직접 반입하는 사례가 많았다.
관세청은 마약류 성분이 함유된 불법 의약품 반입을 막기 위해 세관검사를 보강하고 정보분석을 통해 단속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민지 기자
j060217@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