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중독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아동일수록 우울증 등 감정 조절이 어렵고 학습장애까지 심각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비만 아동·청소년에서 '음식중독'과 '정서·행동문제' 사이의 유의한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연구는 보건연구원의 지원으로 한림대 박경희 교수 연구팀이 진행했고 연구 결과는 '영양·건강분야'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음식 중독이란 특정 음식을 조절하지 못하고 강박적으로 섭취하는 행동으로 뇌의 보상 시스템과 관련이 있고 물질 중독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조사 대상 224명 중 19.6%(44명)가 음식 중독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음식 중독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아동들의 비만 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존감도 낮고, 가족간의 정서적 교류나 지지 등의 가족기능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울·불안 등 감정 문제와 충동적 행동도 높아지는 것을 나타났다.
음식 중독 증상이 심할수록 불안이나 우울 등 감정·행동 문제가 심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 비만도와 부모 양육 태도 등을 보정한 후에도 문제행동 총점과 공격성은 높아졌고 학업수행능력점수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음식중독이 아동·청소년의 정서적·행동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박현영 보건연구원장은 "비만이 동반된 아동·청소년에서 정서적 행동 문제가 동반된 아이들의 경우 음식 중독의 경향성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세심한 이해와 평가 그리고 중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