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가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금융서비스라는 그럴듯한 용어를 사용하며 특별한 문제의식 없이 소비자들이 카드대출을 받도록 홍보해왔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됐다.
14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국내 8개 카드사의 금융서비스 자산이 13조원 증가했다.
가계부채비율이 정점을 찍었던 2021년 3분기 이후 점차 감소했던 것에 비해 장·단기 카드대출과 일부결제금액이월약정(리볼빙) 잔액은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장기카드대출이 4년간 7조8000억원 증가하며 금융서비스 가운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금융당국이 가계부채를 억제하기 위해 대출 규제를 시행했는데도 불구, 카드대출의 증가세가 심각하다.
소비자주권은 카드사가 이 같은 대출을 금융서비스라는 명칭을 사용해 홍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카드사의 대출금리는 최고 19%대까지 존재하며 법정 최고 이자율인 20%에 근접한다"며 "제2금융권인 카드사에서 진행되는 대출이기 때문에 신용점수도 하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카드사가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장점만을 강조해 금융감독원이 2023년 12월 소비자경보를 발령하기도 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2월부터 리볼빙이라는 용어 대신 △최소결제 △일부만 결제 등의 소비자를 현혹하는 광고표현을 금지했다.
하지만 일부 카드사는 여전히 소비자를 현혹하는 광고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신한카드는 금융서비스를 △똑똑한 금융생활 △금융혜택 등으로 표현, 하나카드는 쉽고 편리한 개인금융서비스 등과 같은 문구로 홍보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직접적으로 장려하는 카드사도 있다.
롯데카드는 단기카드대출 이용금액에 따라 1431명을 추첨해 포인트나 캐시백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벤트에는 1431명 당첨 행운이라는 문구를 사용, 소비자들이 단기카드대출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소비자주권은 금융당국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 대신 카드대출로 명칭 변경 △카드대출 판촉 금지 △자산 대비 카드대출자산 비중 규제 등의 조치를 촉구했다.
소비자주권 관계자는 "카드사가 이러한 행태를 반복한다면 강력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며 "금융관련 서비스에는 어떠한 수식어도 붙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