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물질안전원은 고압가스가 누출되며 발생하는 초음파를 이용, 가스 누출을 신속하게 탐지하는 신기술을 내년 초에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29일 밝혔다.
현재 누출 감지기는 내장된 전극 작용으로 가스가 산화나 환원반응을 일으킬 때 생성되는 전류를 측정해 농도를 계산하는 전기화학방식이 사용된다.
물질별 화학반응 정도를 특정 값으로 미리 정해 측정하고 있지만 물질 간 상호 간섭현상, 불검출 등 이유로 탐지가 어려워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데 10~30초 정도 소요된다.
화학물질안전원은 기체 상태 화학물질이 누출될 때 발생하는 초음파를 통해 누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탐지기를 개발했다. 새롭게 개발된 초음파 탐지기는 0.5초 이내에 누출 여부를 탐지하고 검증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소리를 탐지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반도체·디스플레이 업종의 고압가스 공급시설 적용은 국내외 최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지난 5월 국유 특허출원하고 9월에는 국내 초음파 탐지기 전문 업체 에스엠인스트루먼트와 국유 통상실시권 계약을 체결해 시제품을 개발했다.
미국∙유럽∙일본 등 해외에 기술을 출원할 예정이며 반도체 업체와 시범 적용을 통해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박봉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감지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상용화를 눈앞에 둔 것에 의미가 있다"며 "화학사고 방재기술 개발과 자체 개발 기술들을 시장에 선보여 화학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다영 기자
park020331@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