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의 잇따른 부도사태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부동산 PF의 자기자본비율이 상향 조정된다.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PF 사업 안정성을 높이고 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한 '부동산 PF 제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또 2028년까지 자기자본비율을 20% 수준까지 올리겠다고 밝혔다.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는 대상 사업의 미래 수익성을 기반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이다.
선진국들도 부동산 PF가 있지만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
선진국 디벨로퍼의 자기자본 비율은 30~40% 지만 한국은 3~5%에 그치고 있는데 디벨로퍼의 영세성 때문이다.
현재 부동산개발업법에 따른 디벨로퍼는 2400여개로 연 매출 100억원 이하가 95%를 차지한다.
시행사가 사업비의 3~5%만 부담해 영세 디벨로퍼가 난립하고 부실 투자가 성행한다는 지적에 따라 제도 개선은 자기자본 비율을 올리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개선안은 시행사의 자기자본 비율에 따라 대출 금융기관의 PF 대출 위험 가중치와 충당금을 차등 적용한다. 또한 자기자본 비율이 높아 보증 리스크가 적은 사업장은 PF 보증료를 할인해 주는 방안도 제시됐다.
토지주가 직접 사업에 현물을 출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PF 사업 토지비 비중은 20~40%인데 고금리 대출로 토지를 매입하면 금리 인상 등 대외변수에 취약하다.
그 이유로 사업에 현물을 출자하면 이익실현 시점을 고려, 양도차익 과세·납부 이연을 적용해 토지주가 토지·건물을 현물출자하도록 유도한다.
사업성 평가도 강화한다. 시행사와 시공사의 담보나 신용보다는 PF 사업의 사업성·안정성 등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뒤 대출하도록 개선한다.
또한 사업성 평가 기준과 절차를 마련해 전문평가기관 인증과 사업성 평가를 의무화한다.
개선안을 통해 정부는 자기자본 비율을 △2026년 10% △2027년 15% △2028년 20%로 끌어올려 리스크 감소·사업비 절감·분양가 인하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 건설사 부실 주범 'PF 연체율' 14배 폭등
- 금감원, '부실 부동산 PF' 직접 정리에 나선다
- 부동산 PF 연착륙 위한 규제 완화 … 연말까지 '면책 특례'
- 'LH 적자요인' 공공임대주택 지원금 내년엔 7% 오른다
- 국토부 '추락사고 예방 아이디어' 공모
- 타워크레인 기록장치, 노조반발 있어도 "의무화"
- 국토부 사회초년병 대상 '임대차 홍보영상' 제공
- "공사는 했는데" 현대건설 미수금 5조 … 10개사 중 최다
- 'PF 수수료' 내년부터 용역 대가로 한정
- 카드사 기업정보 분석·제공 가능해진다
- 부동산 PF, 부실우려 사업규모장 규모 '15조'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 신청 … 업계 확산 우려
- 금감원 부동산 PF 만기 '수수료 폐지'
- 'PF리스크' 책임준공 토지신탁 관리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