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높아지는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생명존중 마을 지정, 심리상담 제공 등 시민들의 마음 건강 관리에 나선다.
시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서울시민 자살률을 50% 이상 줄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까지 낮추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한국·서울시민 자살률(10만명당)은 27.3명, 23.2명으로 OECD 가입국 가운데 10년 넘게 1위다.
시는 1인 가구 밀집, 알코올중독 중·장년이 많은 지역을 '동행촌 생명존중 마을(가칭)'로 지정하고 집중관리할 예정이다.
지정된 마을에서는 동네 병원·상점 등이 생명지킴이 역할을 맡는다. 집중관리는 생명지킴이가 자살 위험이 높은 사람을 발굴해 전문기관에 연계하는 방식이다. 생명존중 마을은 내년 10개 자치구에서 시범운영한 후 2028년까지 25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현재 9개 자치구에서 11곳을 운영하고 있는 마음상담소를 전 자치구 내 27곳으로 확대하고 전문심리상담(회당 8만원) 비용도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2만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확대해 2027년부터 10만명에게 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태희 시민건강국장은 "그간 자살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펼치던 정책을 외로움·고립감 등 포괄적 마음건강 관리로 전환하기로 했다"며 "시민이 체감하고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돌봄활동을 추진하는 등 생명 존중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곽범신 기자
unit_factor@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