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시설물 안전점검 재정비에 나섰다.
국토부는 시설물 사고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 8월 안전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 팀(TF)을 구성했다고 22일 밝혔다.
국토안전관리원, 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철도공사 등 7개 기관 관계자들로 구성된 TF는 집중호우 취약 시설물인 교량·제방·옹벽 등을 대상으로 안전점검 항목 강화를 추진한다.
TF는 하천 횡단교량 때 노후·홍수 발생 위험도 등의 요인을 고려해 고위험 교량을 선별한다. 내년 6월까지 시설물 관리주체들이 세굴조사를 진행하도록 지도·점검할 계획이다.
TF는 홍수로 인한 붕괴 등에 대비해 안전점검 기준을 재정비하고 관리주체들이 월류·누수·침하 등의 조사도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TF는 시설물 안전등급 산정 기준 재검토, 관리주체, 보수·보강 등 안전관리 의무도 강화한다. D·E등급 시설물 중대결함 발생 때 보수·보강 의무 기한을 최대 2년(현행 5년)으로 단축하는 법령 개정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태병 기술안전정책관은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가 시설물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 리스크로 부각되고 있다"며 "시설물 관리주체, 점검·진단 업계, 지자체 등이 기후변화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수현 기자
sswuhy@safetimes.co.kr
관련기사
- 국토·환경부 "탄소중립 대응 공통 전략 마련"
- 국토부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20개 선정 … 5년간 100개사 지원
- 국토부 "광역버스 수소버스로 전환 시급"
- 국토부 '항공안전' 강화 위한 긴급 간담회 개최
- 서울·경기 등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사업 신청
- 조병옥 음성군수 "중부내륙철도 연장" 건의
- 국토안전관리원 진주시 재난대응 강화훈련
- 강원도, 안전점검 3년 연속 '최우수'
- 건설연, 맞춤형 '지하수 관리' 시스템 개발
- 광양 중마시장 '안전관리' 우수 장관상
- 국토부 주택도시기금 대출 '맞춤형 관리 강화'
- 명동에서도 비행기 수하물 '이지드랍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