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 비해 농어촌 안전지수 1.8점 낮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 2020년에 비해 2.1점 높은 72.4점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식약처는 어린이 식생활의 안전과 영양수준을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해 안전, 영양, 인지·실천 등 3가지 분야에 대해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3년 주기로 조사하고 있다.

안전 분야는 33.5점에서 34.6점으로 1.1점 상승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통해 위생과 영양관리 지원을 받는 소규모 어린이 급식시설이 증가와 학교 주변 등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업소 점검률의 증가로 평가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분야는 22.9점에서 24.1점으로 1.2점 상승했다. 단체급식 영양관리 수준 향상을 위해 우수식재료 요건을 학교급식 조례에 포함해 관리하는 지자체가 증가하고, 어린이 식생활에 대한 교육·홍보 활성화 등으로 평가점수가 상승했다.

하지만 '인지·실천' 분야는 13.9점에서 13.7점으로 0.2점 하락했다. 이 분야는 전국 초등 5학년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한 결과로 단맛 나는 음료, 빵 등의 섭취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지난 조사 결과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조사 결과에 비해 △대도시 73.1점(2.1점 상승) △중소도시 72.9점(2.3점 상승) △농어촌 71.3점(1.3점 상승) 등으로 권역별로 점수는 상승했지만 대도시에 비해 농어촌의 안전지수는 1.8점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식생활 안전지수 조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취약 분야에 대한 관리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지역별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전국의 어린이 식생활 영양·안전 수준 향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