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오른쪽)와 유구종 인천국제공항공사 운영본부장이 인천국제공항 주소기반 주차정보 구축과 주차내비게이션 실증 업무 협약을 하고 있다. ⓒ 행정안전부
▲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보(오른쪽)와 유구종 인천국제공항공사 운영본부장이 인천국제공항 주소기반 주차정보 구축과 주차내비게이션 실증 업무 협약을 하고 있다. ⓒ 행정안전부

앞으로 인천국제공항 주차장의 빈자리를 주차내비게이션이 찾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주소기반 주차정보 구축과 주차내비게이션 실증을 위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주차내비게이션은 주차면에 사물주소를 부여해 주차정보와 주차관제시스템의 실시간 주차면 상태 신호정보를 융합해 내비게이션이 주차 가능한 개별 주차면을 안내하는 서비스다.

이 사업은 행정안전부에서 2018년부터 주소기반 신산업 육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주소기반 미래산업 모델 가운데 자율주행차 주차 사업의 일환이다.

업무협약에 따라 행안부는 인천국제공항 주차장의 주차면(주차단위구획)에 경차, 장애인, 전기차 등 주차면 정보와 주차요금정산기 등 주차 관련시설에 대한 주소기반 위치정보를 구축해 사물주소를 부여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주차관제시스템-주차정보의 실시간 연계와 주차장 내 주소정보 안내시설 설치 등을 지원한다.

두 기관은 국내·외 방문객이 많은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단기주차장에 주차내비게이션을 시범 적용해 오는 12월 말까지 주소기반 주차정보의 범용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실증 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주차관련 서비스 상용화를 앞당기겠다"며 "행정안전부는 국민 생활 속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촘촘한 주소정보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