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각지에서 자율차가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올해 전국 주요 도로망의 자율주행 난이도를 평가한 지도가 구축된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자율주행 기술 실증을 위해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한 차량이 440대를 넘어섰고(지난달 기준) 자율차 보급이 점차 확대될 예정임에 따라, 전국 주요 도로망 대상으로 자율주행 지도를 구축해 자율주행 관련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해 전국 국도구간 평가를 완료하고 올해 지방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도로공사도 5일 고속도로(민자구간 제외) 평가용역을 공고해 올해 안에 고속도로·국도·지방도 등 주요 도로망을 아우르는 자율주행 지도가 구축될 예정이다.
자율주행 지도는 △도로의 기하구조 △교통흐름 △터널·교량의 유무 △교차로유형 등 자율주행 기술 구현과 관련 주요 요소를 기준으로 유사한 도로 구간들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대표구간에서 모의주행과 실제주행을 거쳐 자율주행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는 정도를 평가해 나타낸다.
특히, 모의주행 단계는 야간·안개·젖은 노면상태·전방 사고발생 등 특수상황을 포함한 다양한 주행 시나리오를 설정해 △해당 구간에서의 자율주행 기능 해제 △신호 미인지 △비정상 주행 등 자율주행 안전성 저하 여부도 확인한다.
국토부는 구축되는 자율주행 지도가 향후 자율주행 정책을 획기적으로 전환하는 기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진호 국토부 자율주행정책과장은 "자율주행 기술 구현과 관련된 도로 여건에 대해 객관적 자료가 마련될 예정인 만큼, 이를 활용해 자율차가 안전성을 검증해 가며 확산되고 자율주행 상용화도 앞당길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토부, 도로 건설현장 '안전관리비 가이드라인' 발표
- 국토부, 여름철 성수기 대비 '항공 안전관리' 현장점검
- 국토부, 장마철 대비 화물차 타이어 '무상 점검'
- 국토부, 교통안전공단과 국내 일본 수입차 '제작결함조사' 착수
- "지난해 항공업계 안전투자 규모 5조8453억원" … '정비 비용' 가장 높아
- 전세사기 예방 위해 공인중개사 확인·설명 의무 강화
- 무료 공영주차장에 차량 한 달 이상 방치하면 '견인'
- 7년 재난평가 '최우수' 도공 함진규 사장 "안전 최우선 가치"
- "출퇴근 30분 실현" … 수도권 동부지역에 4.4조원 규모 교통사업 추진
- 건설연 "안개 속 후미등 밝기 조절 기술 개발"
- 한국도로공사 13일 고덕터널서 '안전한국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