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은 산사태 예측정보 체계에 '예비경보'단계를 추가해 1시간의 대피시간을 확보한다고 1일 밝혔다.
산사태 예측정보란 산림청이 운영하고 있는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정보로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이 80%에 다다르면 '주의보', 100%에 다다르면 '경보'가 자동 생산된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토양함수량이 90%에서 100%에 도달하는데 평균적으로 1시간이 소요된다. 올해부터는 '예비경보'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1시간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측정보는 즉시 각 지방자치단체 담당자와 부단체장에게 전송돼 현장에서 주민대피, 산사태예보 발령 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산사태정보시스템'과 모바일 '스마트산림재난' 앱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산림청은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중앙산림재난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고 각 지역 산사태취약지역을 우선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사태는 다수의 인명과 재산 피해의 우려가 높은 자연재난으로 선제적인 예방과 대피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나와 가족의 안전을 위해 산사태 국민행동요령을 꼭 숙지하고 곧 다가올 풍수해 위험시기에 대피문자 수신 시 주저 없이 대피해 달라"고 말했다.
김미영 기자
odongkim@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