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가 외부업체 공사 관련 안전관리 방안을 마련해 중대재해를 예방한다.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사고 발생 업체 벌점 부과·감점 심사제'와 '안전교육 이수제'를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모든 외부업체 공사에 적용되는 이 제도는 지난해 12월 발생한 8호선 복정역 공사장 이산화탄소 방출 등과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도입됐다.
공사는 안전사고와 부실시공 등 관련 업체에 벌점을 부과하고 재입찰 자격에 제한을 둔다. 벌점 부과를 위한 세부 지침을 마련하고 물품 구매·설치 입찰 심사 항목에 감점 사항을 적용할 계획이다.
안전교육 이수가 계약 필수 조건이 된다. 외부 업체 직원이 교육을 이수했을 때만 준공을 승인하고 재계약 때도 교육 이수 정보를 활용한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외부 업체의 계약 이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 위험 요인을 제거하고 중대재해 발생을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민경환 기자
colomin17@safetimes.co.kr
관련기사
- 서울교통공사·코레일 구원연결 합동훈련 ··· "안전 더욱 견고해질 것 기대"
- 2029년까지 서울 지하철 '직물형 의자' 사라진다
- 서울교통공사, 노조활동 핑계로 '상습 무단결근' 34명 해고
- 서울교통공사 지방공기업 '최초' 채용형인턴 도입
- 서울교통공사 '노조 활동 핑계'로 상습 결근한 노조 간부 4명 파면·해임
-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초미세먼지 30% 이상 줄인다
- 지하철 이용 시민이면 누구나 '택배 배달원'
- '사망률 40%' 밀폐공간 질식사고 … 노동부 집중점검
- 서울교통공사, 보안성 강화한 신규 지하철 물품보관함 도입
- 중처법 확대로 안전비용 급증 … 중소기업 비용 지원 요구
- 서울시 '부실시공 책임 강화' … 즉시 재시공 의무화
- 진료‧처방 가능한 연중무휴 지하철 '메디컬존'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