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새로운 공매도 전산시스템을 도입한다. ⓒ 금감원
▲ 금융감독원이 새로운 공매도 전산시스템을 도입한다. ⓒ 금감원

금융감독원이 공매도 전산시스템을 새롭게 개편한다.

금감원은 25일 개인투자자와 함께하는 열린 토론에서 불법 공매도 방지 전산시스템 구축 방안을 공개했다.

새롭게 마련한 시스템은 기관투자가 자체 전산망으로 무차입 공매도를 차단하고 중앙 시스템을 통해 모든 주문을 재검증한다.

개인 투자자들이 요구했던 실시간 차단은 아니지만 이중 검증 시스템을 통해 불법 공매도를 없앨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스템 구축과 법 개정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 오는 7월로 예정됐던 공매도 재개 시점은 뒤로 미뤄질 전망이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을 우선 빌려 팔았다가 주가가 떨어지면 싸게 매수해 갚아서 차익을 보는 투자법이다.

국내에선 결제일이 아닌 주문 전에 주식을 빌리지 않으면 불법 공매도로 간주되고 있다.

금감원은 사전차단시스템도 고려했지만 매도주문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게 상당히 어려운 데다가 주문속도가 느려짐에 따른 외국인 이탈을 우려해 사후 적발 시스템을 채택했다.

증권사는 시스템 적정성이 확인된 기관투자가에 한해서만 공매도 주문을 받아야 한다. 시스템 구축이 미비할 경우 공매도 자체가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불법 공매도가 그간 국내 투자자의 시장 신뢰를 저해하며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며 "불법 공매도 방지 전산시스템 구축을 계기로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이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