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승강기 부실점검 근절을 위해 점검 대상 업체 수와 점검 횟수를 늘린다.
행안부는 승강기 이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2024년 승강기 유지관리 실태 표본점검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
행안부는 대한승강기협회·승강기관리산업협동조합과 협조해 저가 유지·관리 업체에 대한 입찰 지양 등 업계의 자발적 자정 작용을 독려해왔다.
하지만 최저가 과잉 경쟁으로 부실점검을 우려하는 민원이 증가함에 따라 지난해부터 관계기관과 합동 표본점검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점검 대상 업체를 16개에서 30개로 확대하고 점검 횟수도 연간 1회에서 상·하반기 2회로 늘린다. 점검 결과와 조치사항도 연 2회 발표할 예정이다.
유지관리 부실이 우려되는 업체 17곳에 더해 지난해 행정 처분을 받았던 업체와 원격지 유지관리업체, 공익제보 업체 등 13곳을 추가했다.
점검에선 점검 항목별 이행 여부와 승강기 사고 통보 누락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행안부는 점검 결과에 따라 가벼운 부적합 사항은 현장에서 즉시 개선하도록 하고 허위 점검 기록 등 중대한 위반사항이 적발된 업체에 대해선 과징금 부과나 사업 정지 등의 행정처분을 조치할 방침이다.
김용균 행안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은 "승강기를 이용하는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선 승강기 유지관리 품질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매년 표본점검을 통해 승강기 유지관리 품질을 저하시키는 업체를 지속적으로 단속해 부실점검을 근절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은채 기자
amykim12338@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