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의 소용돌이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해 알려주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정확도와 탐지 속도를 높인 '동해 준실시간 소용돌이 정보'를 이달부터 해양정보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의 소용돌이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해류와 남쪽에서 올라오는 따뜻한 해류가 만나 형성되는데, 계절별로 세기가 변해 해류가 원을 그리며 순환하는 소용돌이가 반복적으로 생성되고 소멸된다.
소용돌이의 수명은 2~3개월에서 1~2년 정도로 회전속도는 시간당 1㎞ 미만으로 매우 느리고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유속이 커졌다 다시 작아지는 특성을 보인다.
소용돌이는 순환하면서 수심방향으로 200~300m까지 열과 염, 영양염류를 운반하기 때문에 해양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동해 전체 해역의 해수면 고도를 높이 순서로 탐지한 후 등고선을 찾는 기법을 적용해 기존보다 5배 이상 빨리 소용돌이를 탐지하는 기법을 개발했다.
동해 울릉도 주변 해역의 소용돌이 정보는 부유물체 추적과 수중물체 탐지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해역에서 잡히는 어종의 생태와도 연관성이 있어 동해 울릉도 주변의 해양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재철 국립해양조사원장은 "동해 소용돌이 탐지 정보는 수산업, 해양 탐색 활동과 관련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욱 정확도 높은 동해 소용돌이 정보 생산과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은채 기자
amykim12338@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