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21일 아파트 보안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광역시도 협력회의를 진행한다.
20일 KISA에 따르면 2021년 아파트 월패드 해킹사건 이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2022년 7월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지능형 홈네트워크 고시)'을 개정해 세대 사이 망 분리를 의무화하는 등 보안조치를 통해 국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과기정통부와 KISA는 지능형 홈네트워크 고시 개정 전 준공된 아파트단지 대상으로 아파트 보안 자율점검을 통해 국민이 일상생활에서 안심하고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광역시도 협력회의는 KISA가 지난해 전국 200개 공동주택(아파트)단지에 대한 아파트 보안 자율점검 지원사업을 진행한 결과를 광역시도 담당자 등과 공유하고, 올해 각 시도별 아파트 보안 자율점검을 더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아파트 보안 자율점검 지원은 아파트 홈네트워크 보안 강화를 위해 관리자, 운영·유지보수 담당자들이 자율적으로 홈네트워크 장비를 점검할 수 있도록 공공·민간 아파트 단지 현장에 방문해 홈네트워크 장비의 보안성을 진단하고 컨설팅 등 대응방안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KISA는 지난해 사업을 통해 아파트 관리자 등이 자율적으로 홈네트워크 장비를 점검할 수 있도록 아파트 보안 자율점검 상세 안내서와 체크리스트를 개발했으며, 전국 204개 단지 현장을 방문해 홈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보안점검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또한 조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상세 안내를 통한 조치 지원, 중·장기 대응 방안 제시 등 단지 맞춤형 정보보안 컨설팅도 진행했다.
KISA는 올해도 전국 각지의 아파트 보안 자율점검을 추진할 예정으로 더 많은 아파트 단지가 보안점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광역시도 공동주택 담당자들의 참여와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상중 KISA 원장은 "국민의 일상생활에서 디지털 기술의 혜택은 보안점검이 일상화될 때 더 커질 수 있다"며 "광역시도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전국 각지의 아파트 단지들이 자체적으로 보안점검을 일상화할 수 있는 보안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오르빗 브릿지' 해킹으로 1000억원 넘는 가상자산 탈취당해
- 스마트빌, 해킹으로 개인정보 유출
- 박완주 의원 "해킹 신고 건수 매년 증가, 정부는 피해 규모조차 몰라"
- 증권사 해킹해 개인정보 100만건 … 6억원 챙긴 일당 검거
- '보안업체' 지니언스 솔루션 해커에 공격당한 정황 '포착'
- 최대 규모 세계보안엑스포 개막 "AI와 보안 접목한 기술 소개"
- KISA-인천경찰청, 불법유통 게시물 '선제적' 차단 … 개인정보 보호
- KISA, 유니콘기업 해외지원 위해 아마존과 협력체계 구축
- 식약처·KISA, 업무협약 2년 연장 … 의료기기 사이버 보안 강화
- KISA, 불법스팸 전송 방지를 위한 설명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