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과 정부의 규제에 맞선 프랑스 농민들의 분노가 어업과 교통 분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26일 정부가 내놓는 협상안이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5일(현지시간) 프랑스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노동총연맹(CGT)은 시위대에 급여 노동자, 농업 노동자, 농민의 요구가 수렴될 수 있는 조건을 만들라고 촉구했다.
프랑스 농민들은 지난 18일부터 소득 감소에 항의하며 유럽연합과 정부의 규제들에 맞서 시위를 벌이고 있다. 고속도로 봉쇄로 시작된 시위는 최근 시내 방화로까지 이어지며 험악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최근엔 어업인들과 운송업 종사자들도 시위에 가담하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프랑스 북서부 해안도시 렌에선 어업인들이, 리옹에선 운수업자들이 시위의 물결에 가담했다. 건설업자들도 곳곳에서 목소리를 높였다.
점점 다양한 분야에서의 불만이 시위에 섞여들어 큰 소요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브리엘 아탈 총리가 26일(현지시간) 농민의 요구에 대한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지만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면 시위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농민들의 시위에 가담하고 있는 타분야 종사자들은 현재로선 개인적인 동기로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운송회사들을 대표하는 전국교통연맹은 "전국적으로 농민 시위에 가담하려는 움직임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토정보국 관계자는 "현재로선 농민 시위와 타분야 시위의 본격적인 결합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며 "현재 시위의 중심은 농업인들의 이익"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다수의 노동조합들이 농민 시위에 호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는 점은 향후 시위 확대의 뇌관으로 꼽힌다.
호텔·레스토랑 산업 연합(Umih)은 "일을 통해 생계를 꾸릴 수 있어야 한다는 그들의 요구를 이해한다"며 "그들이 없다면 우리는 고객에게 신선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정육점, 샤퀴테리, 케이터링 업체 연합(CFBCT)도 "육종가들과 연대한다"며 "농민들의 요구에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조치로 대응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현 시점에선 타 노조가 회원들에게 시위 참여를 지시하고 있진 않지만 시위가 장기화되면 움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영토 정보국 관계자는 르피가로와의 인터뷰에서 "노동조합이 농민의 기반에 의해 압도될 위험이 있다"며 "매우 제한된 방식으로 일어나고 있지만 시위가 길어지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