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의심거래에 가담한 10명 가운데 4명이 공인중개사와 중개보조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전세사기 근절을 위한 범정부 특별단속을 진행한 결과 전세사기 의심 거래 1322건을 포착해 해당 거래에 가담한 970명을 수사 의뢰했다고 9일 밝혔다.
전세사기 의심 관련자 970명 가운데 공인중개사·중개보조원이 414명(42.7%)으로 가장 많았다.
임대인(264명.27.2%), 건축주(161명·16.6%), 분양·컨설팅업자(72명·7.4%)가 뒤를 이었다. 전세사기 의심거래의 보증금 규모는 2445억원으로 가구당 평균 1억8000만원이다.
지역별로는 전세사기 서울 강서구가 833억원(337건)으로 보증금 피해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경기 화성 238억원, 인천 부평 211억원, 인천 미추홀 205억원, 서울 양천 167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수사의뢰된 거래와 관련해 전세피해지원센터에 피해 상담을 요청한 임차인은 모두 588명이었다. 이 가운데 20대가 14.7%(82명), 30대는 46.6%(260명)로 20~30대 청년층이 61.3%를 차지했다.
경찰청은 지난해 7월부터 10개월간 전세사기에 대한 전국적인 단속을 벌인 결과 986건에 연루된 2895명을 검거하고 이 가운데 288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수사과정에서 확인한 피해자는 2996명이며 피해금액은 4599억원(송치 기준)에 달한다.
국토부는 하반기 중 전세사기 의심 거래 분석 대상을 4만건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부동산 거래신고 데이터 기반 조사를 추진하는 등 수사에 도움이 되도록 공조를 이어가겠다"며 "인공지능(AI), 사회연결망 분석기법을 활용해 공인중개사, 임대인 등의 연결고리를 분석하는 등 전세사기 위험감지 시스템 구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세사기 가담 '악덕 공인중개사' 99명 적발
- 국토부, 전세사기 가담 감평사 3명 징계 … 업무정지·경고
- 전세사기 가담한 중개사·감평사 '원스트라이크 아웃'
- 국토부, 지명 결정권 시·도 이양해 18개월 단축한다
- 국토부 "택배차 강매사기 뿌리 뽑기 위해 민관 역량 집중"
- 전세사기 가담 공중사 '또' 무더기 적발
- 맹성규 의원 "전세사기 특별법 제정됐지만 시급히 보완 필요"
- 심상정 의원, 전세사기 특별법 개정안 발의
- 국토부, 전세사기 가담 의심 공인중개사 880명 재점검
- 전남도, 공인중개사 자격증 무료 택배 발송 서비스
- 청년 4명 극단적 선택으로 내몬 인천 전세사기 '건축왕' 징역 15년
- 경기도 전세피해 예방위한 '안전전세 길목지킴' 운동 전개
- 서울시 '모바일로 간편하게' … 공인중개사 자격증명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