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29개 중앙행정기관과 243개 지방자치단체, 120개 각급 공공기관, 17개 민간단체 등이 참여하는 '대한민국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을 시작한다.
17일 행안부에 따르면 중점 점검대상은 국민 의견수렴과 언론 등 빅데이터를 분석해 최근 사고 발생 시설을 포함한 노후·고위험 시설을 중심으로 교량·터널, 건설, 물류, 산사태 위험지역 등 2만6000여곳이 선정됐다.
지난해에는 2만6363곳을 점검해 현지시정 5017곳, 보수보강 4939곳, 정밀안전진단 대상 92곳 등 1만48곳의 위험요인을 찾아내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했다.
올해 집중안전점검은 점검기관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점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점검대상 선정부터 점검결과, 후속 조치까지 체계적으로 이력관리를 한다.
올해부터는 국민이 직접 안전점검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다.
국민 누구나 생활주변 위험요소나 안전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설과 대상에 대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점검 신청이 가능하다. 국민의 점검신청을 받은 지방자치단체는 시민단체 등과 점검 대상포함 여부를 최종 선정한다.
행안부는 형식적이거나 부실한 점검을 막고 내실있는 점검을 위해서 점검 이행실태에 대한 안전감찰도 병행한다.
허위 점검이나 형식적인 점검, 부실 점검 등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사안의 경중을 따져 엄중하게 조치할 예정이다.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시설은 재정지원을 통해 위험요인을 신속히 해소하고 노후·위험시설에 대해서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활용한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상시 점검(모니터링)하게 된다.
점검 결과는 국민이 내 주위의 건물이 안전한지 등의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도록 안전정보 통합공개시스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된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모든 관계기관과 전문가가 협력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생활 속 주변에서 위험요소를 미리 파악해 사고가 예방될 수 있도록 대한민국 안전대전환, 집중안전점검에 국민의 많은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