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항 지진으로 일부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 ⓒ 세이프타임즈 DB
▲ 포항 지진으로 일부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 ⓒ 세이프타임즈 DB

전국 공공시설물 4곳 가운데 3곳이 내진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나며 정부가 2035년까지 100%를 목표로 내진 보강에 나선다.

행정안전부는 2022년도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대책 추진 결과 전국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성능 확보율(내진율) 75.1%를 달성했다고 28일 밝혔다.

내진보강대책은 도로·철도·항만 등의 국가기반시설과 학교 등과 같은 기존 공공시설물의 내진성능 향상을 위한 사업으로 규모 6.3~7.0의 지진을 견디도록 기존 시설물을 보강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내진보강대책 추진 결과 전국 내진설계대상 공공시설 19만7090곳 가운데 14만7978곳이 내진성능을 확보했다.

내진율은 2021년(72.0%)보다 3.1%  증가한 75.1%를 기록했다. 이는 당초 계획인 74.1%보다 1.0% 초과 달성한 실적이다.

다만 33종의 시설물 가운데 3분의 1을 차지하는 공공건축물은 내진율이 53.5%로 저조하다. 학교시설 내진율은 66.3%다.

지난해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은 내진보강사업에 6515억원을 투입해 4535곳(중앙행정기관 3656곳·지자체 879곳)의 내진성능을 추가확보했다.

시설 종류별로는 공공건축물이 1986곳(247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학교시설(1354곳·2401억원), 도로시설물(902곳·1081억원)이 뒤를 이었다.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사업은 시설물별로 관계 법령 제·개정 이전에 설치된 33종 19만여개 공공시설에 대해 2035년까지 내진율 100%를 목표로 추진해왔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3단계 사업은 2021년부터 5년간 2만1574곳 시설물을 대상으로 3조55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025년까지 내진율 80.8%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는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라 매년 4월 30일까지 전년도 내진보강대책 추진결과를 관보 등에 공개하고 있다.

이한경 재난관리실장은 "공공시설물은 규모가 크고 이용자가 많아 지진이 발생했을 때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공공시설물이 조속히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