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김성호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3차 점검 회의를 열고 부처·기관별 이행사항을 점검했다.
행안부는 3차 회의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등 7개 부처와 종합대책의 다섯 가지 전략 가운데 전략 1과 전략 2에 대한 집중 점검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6일 밝혔다.
전략 1인 '새로운 위험 예측과 상시 대비 강화'를 위해 잠재적인 위험지역을 조사한 결과 60곳의 시·군·구가 행안부의 인파관리시스템 시범 적용 사업에 참여 의지를 나타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지난달 21일부터 새로운 재난이 될 수도 있는 신종위험 요소를 찾아내고 관리하기 위한 신종재난 위험요소 발굴센터를 운영했다.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는 해빙기를 맞아 산사태 취약지역을 점검하고 낙석 제거와 입간판 정비 등 안전 조치를 시행했다.
환경부는 여름철 호우에 대비해 지자체가 상습 침수지역의 빗물받이 등 하수관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하수도법을 개정했다.
행안부와 국토교통부는 지자체가 우기 전 반지하주택과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에 침수 방지 시설을 설치하도록 점검하고 있다.
전략2인 '현장에서 작동하는 재난안전관리체계 전환'을 위해 지자체·소방·경찰 등 1차 대응기관의 현장 대응역량을 높이기 위한 과제 점검도 이뤄졌다.
기초자치단체 재난안전상황실 도입을 위한 전담인력 확보와 상황보고체계 개선방안 등이 논의됐다.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불꽃, 소음, 연기, 움직임 등의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CCTV 스마트 관제 체계의 전국 확산을 위한 실무협의체 구성을 완료했다. 시·도지사는 재난 사태를 선포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과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안을 마련하고 있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재난 환경이지만 위험요소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현장에서 제대로 대응하겠다"며 "선제적 안전관리 정책방향이 정착할 때까지 제도개선과 점검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