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범정부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의 후속 조치로 위기관리 지침서의 현장 작동성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주요 내용은 △지침서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지침서 개정 △개정된 지침서 기반 훈련 등이다.
기존 종이 형태로 작성·관리되던 41종의 지침서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관리시스템을 올해 안에 구축할 예정이다.
지난해는 풍수해 분야를 대상으로 시스템을 시범 구축했고 올해는 나머지 40종의 지침서도 상반기 안에 시스템에 등록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 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합동으로 소관 지침서를 등록·수정하는 작업을 다음달부터 진행한다.
일선 현장까지 시급하게 적용해야 할 핵심 내용을 적극 발굴해 지침서를 개정할 계획이다.
다수 사상자 발생 때 신속한 응급이송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소방·해경·재난의료지원팀 간 정보 공유와 합동훈련 등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안전통신망도 상시 활용토록 지침서에 명시한다.
경찰 등이 파악한 재난 정보의 공유를 확대하고 재난 상황 때 보고체계도 간소화한다. 소방·경찰·자치단체 간 협업도 강화할 계획이다.
인파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공연장·경기장 등 관련 지침서에 다중밀집 인파사고 위기형태를 추가한다.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위기징후 목록에 대규모 공연·경기 개최를 추가하는 등 예방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신종재난 등에 대한 선제적 훈련과 범정부 차원의 재난대비 훈련도 개정된 지침서에 따른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행된다.
훈련 결과 도출된 보완사항은 다시 반영해 선순환 구조의 재난대응 훈련 체계를 구축한다.
김성호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기후변화, 노후화, 고령화 등으로 신종, 복합 재난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핵심 수단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지침서를 개선하고 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