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시공사로 참여했던 울산의 한 주상복합 건축 사업에서 발을 빼며 사업주가 빌린 브릿지론이 부도처리 위기를 맞게 됐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에 책임준공약정을 제공하기로 했던 대우건설이 사업에서 빠져버리자 대우건설을 믿고 대출을 집행했던 대주단은 혼란에 빠졌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울산 동구 일산푸르지오 주상복합 신축사업에 시공사로 참여했던 대우건설은 연대보증을 섰던 후순위 브릿지론 440억원을 상환했다.
부동산시장 침체로 사업을 진행할수록 손해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되자 본 PF로 넘어가기 전 일찌감치 손을 뗀 것이다.
브릿지론은 시행 사업자가 건설 사업 인허가를 받기 전 사업 부지를 확보하기 위해 빌린 자금이다.
정부로부터 사업을 승인받아 사업 추진이 확정되면 본 PF와 분양 등 본격적인 사업을 진행한다.
앞서 금융회사들과 대우건설은 해당 사업의 토지 확보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브릿지론에 참여했다. 하지만 대우건설이 이탈하며 사업 진행을 위한 본PF 추진은 사실상 무산됐다.
대주단이 브릿지론 채무 상환 연장(롤오버)에 성공하면 연장된 기간동안 대체 시공사를 찾겠지만 롤오버에 실패하면 브릿지론은 부도처리된다.
대주단은 "대우건설이 사업에서 발을 빼는 바람에 기존 대출이 부실 자산이 됐다"며 "대형건설사가 책임준공을 회피했다"고 호소하고 있다.
반면 대우건설은 아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책임준공은 본 PF에서 약정 여부를 정하는데 브릿지론 단계인 현 상태에선 관련 의무가 없다는 것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책임준공 의무 이행은 법적 강제 사항이 아니며 연대보증인으로서 보증 의무를 다했다"며 "대위변제한 440억원은 현 IFRS 회계기준에 맞춰 지난해 4분기에 기손실 반영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