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고등교육정책실이 12년 만에 폐지된다.
교육부는 국정과제·교육개혁 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면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교육부는 초·중학교 등 기관 중심의 조직을 사회적 요구 대응과 협업에 유리한 기능 중심의 조직으로 전환하고 기관 성격을 정책·지원 부처로, 교육기관 관리 부처에서 인재양성 플랫폼 부처로 전환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조직 개편의 가장 큰 변화는 고등교육정책실 폐지다. 고등교육정책실은 그간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을 무기로 대학 자율성을 침해한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학사 제도, 학생 선발 방법, 산학 협력뿐만 아니라 대학 재정 지원까지 담당하면서 대학기본역량진단 등 평가를 진행해 왔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취임 전부터 고등교육정책실 폐지를 주장해 왔다.
개편이 진행되면 대학에 대한 규제 기능은 대학규제개혁국으로 이전된다. 등록금, 정원 등 전반적인 고등교육 규제 철폐를 위해 신설된다.
초·중등 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학교혁신지원실도 책임교육정책실로 개편돼 기초학력 보장, 유아교육, 돌봄 강화 등 업무를 맡는다.
교육부는 디지털 교육을 전담하는 기획관도 신설할 예정이다. 조직개편은 입법예고 등을 거쳐 내년 1월 시작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조직이 만들어지면 대학 현장에서 체감할 만한 규제 개혁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신승민 기자
shinsm@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