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카카오 먹통 사태 등의 재발 방지 대책으로 '민간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의 관리·감독 제도' 도입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민간 데이터센터를 국가재난관리시설로 지정해 정부가 관리·감독할 수 있게 하고 카카오와 같이 데이터센터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주요 데이터 보호 책임과 재난 대비 계획 수립 의무를 지운다는 것이 주 내용이다.
서버와 데이터에 대한 '이중화 의무' 규제 도입도 거론되고 있다.
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박성중 의원(국민의힘·서울서초을)은 서버·저장장치·네트워크에 이중화·이원화 의무를 부과한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일부법률개정안'을 발의했다.
인터넷 사업자들이 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여러 공간에 복제해두는 이중화를 의무화해 한 데이터센터에서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센터의 데이터를 이용해 서비스 전면 중단 사태 발생을 막기 위한 취지다.
정부는 또 주요 인터넷 서비스의 중단 사태가 국가 안보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보고 범정부 사이버안보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대응하기로 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가 안보와 국민 생활 보호 측면에서 개별 기업에만 맡겨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며 법안 처리를 예고했다.
김지현 기자
a98591530@safetimes.co.kr
관련기사
- 전국민 속 터지게 해놓고 … '카톡 먹통' SK C&C 보상한도는 70억 불과
- 배터리 1개서 시작된 '카카오 참사' … SK와 책임공방 불붙었다
- [서석하의 안전마당] 카카오톡 '먹통' 이용자만 발동동
- '카카오 먹통 사태' 원인은 관리 태만 ? … 피해 보상은 ?
- '카카오 패닉' 은행·증권사 재난 대응 발빠르게 움직인다
- IT공룡 카카오 '재해복구센터 2000억' 아끼려다 '화' 키웠다
- '제2카카오 사태' 막아야 … 국가안보실, 범정부 사이버안보TF 구성
- 제2의 '카카오 사태' 막자 … 서버·데이터 이중화 강제
- 카카오 등 '플랫폼 독과점' 칼 뽑은 공정위 … "문어발 확장 제동"
- 우리은행 모바일뱅킹 앱 '먹통' … 메뉴 업뎃 과정서 지연
- 카카오 '데이터 센터 삼중화' 안전↑ … 사고 재발 방지 '총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