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변화에 대응하겠다고 외쳤던 수협은행이 운용하고 있는 공용차량 198대 가운데 친환경차량은 단 8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율로는 단 4%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안병길 의원(국민의힘·부산서구동구)은 18일 수협중앙회 본사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수협중앙회와 자회사들의 친환경 공용차량 운영실태 문제점에 대해 지적했다.
수협은행은 지난 6월 현재 추진하고 있는 ESG 관련 사업으로 친환경 업무용 차량을 도입하겠다고 안 의원에게 자료를 제출했지만 은행장을 포함해 그룹장의 공용차량 가운데 친환경 자동차는 단 1대도 없었다.
수협은행 경영진은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해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1.5도 이하로 제한하는 전 세계의 노력을 지지한다'는 SH수협은행 탈석탄 금융 선언문까지 작성해 외부에 공개했지만 정작 본인들은 석탄 행보에 앞장서고 있다.
수협중앙회 역시 친환경자동차 운용 실태에서 문제점이 발견됐다. 현재 130대의 공용차량을 운용하고 있는데 43%에 달하는 56대의 자동차가 친환경자동차가 아니었다.
중앙회장을 비롯해 대표이사, 감사위원장, 조합감사위원장, 상임이사, 기획·전략·지도·금융 상무, 자금운용본부장, 수산경제연구원장까지 임원급 인사 모두 친환경차량 사용과는 거리가 멀었다.
친환경자동차법에 따르면 공공기관·공기업은 80% 이상을 친환경자동차로 구매할 것을 명시하고 있고 기관장의 경우 전기자동차 혹은 수소자동차로 우선 구매하도록 돼 있다.
수협이 법률상 공공기관·공기업에 해당되지는 않지만 최근 민관 구분없이 ESG 요소가 중요해진 만큼 조직 내 친환경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때다.
안병길 의원은 "감사위원장과 조합감사위원장의 경우 조직 내 ESG 분야와 관련해 내부점검·감사를 해야 할 것인데 당장 본인들의 업무차량이 친환경차량이 아니라면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지적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경제시장에서 ESG분야가 날로 중요해지고 있지만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은 오히려 퇴보하고 있다"며 "리더는 누리는 자리가 아니라 모범을 보여야 하는 자리임을 한시도 망각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