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병가기록 관리까지 … 부당노동행위 포착
삼성전자 사업지원TF가 삼성바이오로직스 인사평가와 노조 관리에 개입했다는 정황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10일 삼성그룹 초기업노조 삼성전자 지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6일 삼바 인사팀 공용 폴더가 전 직원에게 노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문서에는 개인정보인 직원 이름·주민등록번호·학력·고과평가 정보 등이 담겨 있었다.
문제는 인사평가와 희망퇴직 권유, 노조 간부 명단 등의 내용까지 있었다는 점이다. 특히 일부 파일에선 삼성전자 사업지원TF가 삼바 인사팀에 직접 지시한 메신저 기록도 발견됐다.
노조에 따르면 사업지원TF는 경쟁사 대비를 이유로 리텐션보너스를 특정 인원에게만 부여하도록 요구했으며 직원들에게 하위고가를 더 부여해 인건비를 절감하도록 지시했다.
노조는 "삼바 상생지부 집행부에 대한 관리 자료도 발견됐으며 이는 TF와 인사팀이 노조를 직접 관리했다는 정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집행부 리스트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평가 불이익이나 회유가 가능하다"며 "이는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바이오로직스 팀 고과 비율도 논란의 대상이라는 주장이다. 지난해 하위고과자 비율은 2023년보다 4배 이상 상향 조정됐다. 하지만 사업지원팀을 구성하는 피플팀은 전사 평균보다 10% 높은 상위 고과를 받았고 경영진단팀은 100% 상위 고과를 기록했다.
노조는 "생산과 매출에 기여하는 직원들보다 관리하는 조직이 더 많은 고과를 받아가는 실태"라며 "상위 고과가 연속이라면 노조를 관리하는 인력을 차등해 부당노동행위를 하고 있다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또 직원들이 마음병가센터를 다녀온 기록을 징계 폴더 안에 보관한 점을 지적하며 "정신건강을 위한 제도가 사실상 병가사용 평가나 인사 조치와 연결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정보노출 사고와 관련해 존 림 삼바 대표는 "임직원 개인정보가 열람 권한이 없는 일부 직원들에게 노출된 것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특정 직원에게 불이익을 주려 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노조는 "사과 이전에 노조 사무실 네트워크를 차단하고 노트북 회수를 시도하는 등 탄압 행위가 이어졌다"고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이같은 논란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한편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노동조합은 업무방해·특수건조물 침입·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부당노동행위 혐의로 삼성바이오 임원 A씨에 대한 고소장을 인천 연수경찰서에 접수했다고 11일 밝혔다.
박제성 지부장은 "당시 노출된 자료 가운데 저성과자 리스트나 하위평가 비율 확대를 추진하려 한 사실 등 민감한 내용이 다수 있었다"며 "추후 A씨 외 다른 직원들도 고소할지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