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운데)가 18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해킹 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 이유찬 기자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운데)가 지난 18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해킹 사고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 이유찬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 사고 관련 긴급 현안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롯데카드·KT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회의에는 금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 부처가 참석해 피해 현황과 대응 경과를 보고했다.

김 총리는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한 근본적인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기업 측 대응의 적절성도 함께 점검할 것을 지시했다.

롯데카드 해킹 피해는 현재까지 약 297만 명, 200GB 규모의 회원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28만 명은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CVC 번호 등 민감 정보가 포함돼 있어 2차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KT는 서버 침해 사실을 인지하고도 3일 뒤에야 당국에 신고한 것으로 드러나 '늑장 신고' 비판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과방위)에 따르면 KT는 지난 15일 침해를 인지했지만, 18일 밤에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했다. 이는 관련법상 24시간 이내 신고 의무를 위반한 것이다.

KT의 소액결제 피해는 서울 서남권과 경기 일부 지역을 넘어 △서초구 △동작구 △고양시 일산동구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피해자 수는 362명, 피해액은 2억4000만원으로 집계됐다.

불법 펨토셀 기지국 ID도 4개로 늘어났고,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휴대폰 번호 등 추가 정보 유출 정황도 확인됐다.

국회 과방위는 오는 24일 해킹 관련 청문회를 열고 김영섭 KT 대표이사, 서창석 네트워크부문장, 황태선 정보보안상무(CISO) 등을 증인으로 채택해 소액결제 사건 및 서버 침해 의혹을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과방위, 대전유성을)은 "KT 해명이 오락가락하며 피해자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지금이라도 피해 고객에게 직접 결제 현황을 고지하고 전수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고의적 축소·은폐 시도를 반복한 KT에 대해서는 더 강력한 제재와 피해 배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