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항공박물관서 미래항공보안포럼 개최

▲ ⓒ 항공보안협회
▲ 정부·기업 등의 항공보안업계 관계자들이 17일 미래항공보안포럼에 참석했다. ⓒ 항공보안협회

대한민국항공보안협회는 2025 미래항공보안포럼을 17일 국립항공박물관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포럼은 국토교통부·국가정보원 등이 주최하는 2025 항공보안주간 행사 가운데 하나로 항공보안협회가 주관했다.

협회는 포럼이 항공보안 미래전략과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로 항공보안 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민간부문 협력의 장이라고 소개했다.

포럼은 최근 대두되는 드론 테러와 공항보안 위협을 반영해 △항공보안 아이디어 발표 △드론위협 대응방안 △K-항공보안장비 활성화 등의 주제를 다뤘다.

첫번째 세션 창의보안 발표에서는 협회가 주최한 전국 대학생 항공보안 공모전의 시상식이 있었다.

협회는 공모전에 16개 팀이 참여해 항공보안 현장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첨단기술을 활용한 해결책을 작품으로 제출했다고 설명했다.

최우수상은 한서대학교 항공보안과 김동연·백주안·정우제 팀의 '단 1%의 실수도 허용하지 않는다–AI로 완성하는 항공보안' 작품에 돌아갔다.

이들은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엑스레이 이미지 학습을 통해 위협요소를 자동탐지하는 방안을 내놨다.

협회는 출품작 상당수가 드론·UAM(도심항공교통) 등의 새로운 항공보안 위협에 대한 제안이라고 밝혔다.

또 기내 배터리로 인한 화재 위협과 대응방안 등도 눈길을 끌었다고 협회는 덧붙였다.

▲ 정부 관계자와 전문가를 비롯한 포럼 참가자들이 행사장에 전시된 안티드론 장비를 둘러보고 있다. ⓒ 항공보안협회
▲ 항공보안포럼 참가자들이 행사장에 전시된 안티드론 장비를 둘러보고 있다. ⓒ 항공보안협회

두번째 세션은 드론 위협에 대한 기술·제도적 대응을 집중 논의했다.

김현철 한국공항공사 과장은 "공항, 국가 중요시설 등에 드론 불법 침입이 늘어나고 있다"며 "탐지 시스템 개선과 실시간 대응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탁태우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안티드론 기술 현황과 미래 법제도 개선방향을 제시했다.

마지막 세션은 K-항공보안장비 경쟁력 강화와 수출 확대 전략을 조명했다.

박재완 항공보안협회장은 "국산 장비 테스트베드 구축은 성능 검증과 국제인증 획득을 위한 핵심기반"이라며 "정부와 산업계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지현 대동씨큐리티 이사는 표준화 전략과 수출 사례를 소개하며 한국 항공보안기술의 세계 진출 가능성을 제시했다.

행사장에는 드론위협 대응을 위한 장비도 여럿 전시됐다.

전시된 장비는 △EO/IR(전자광학/적외선) 카메라 △재머 △수색용 드론 △훈련용 표적기 등으로 정부 관계자와 전문가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박재완 협회장은 "K-문화에 이어 K-보안장비, K-보안교육도 세계 시장 경쟁력을 갖췄다"며 "협회는 항공보안 후발주자 국가들과 접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