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을 중심으로 이틀간 쏟아진 집중호우로 사상자 4명과 10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소방청에 따르면 16~17일 쏟아진 집중호우로 경기 오산과 충남 서산에서 각각 1명씩 숨지고 서산과 부여에서 2명이 다쳤다.
오산에서는 고가도로 옹벽 붕괴로 차량이 매몰돼 40대 운전자가 사망했으며 서산에서는 침수 차량 안에서 발견된 50대 남성이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졌다.
폭우로 충남·경기·충북 등 3개 시·도 5개 시·군에서 313세대 주민 1070명이 일시 대피했다.
기상 악화로 항로 31개와 여객선 39척의 운항이 중단됐다. 국립공원 15곳 탐방로 374개와 둔치주차장 69곳도 전면 통제됐다.
소방청은 전날 오후 3시부터 이날 오전 9시까지 모두 1956건 출동했다.
전국 누적 강수량은 서산 419.5㎜·홍성 411.4㎜·당진 376.5㎜ 등 충남 지역에 집중됐다. 기상청은 19일까지 최대 300㎜가 더 내릴 것으로 관측했다.
기상청은 광주·전남·부산·울산 등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200㎜ 안팎의 강수량을 예보했다.
이에 산림청은 17일 오후 1시부로 부산·대구·광주·울산·전북·전남·경북·경남 등 8개 시·도의 산사태 위기경보를 경계로 상향했다. 대전·세종·충북·충남은 심각 단계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계속되는 호우로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다"며 "야외 활동을 자제하고, 대피 명령 시 산림 인접 지역 주민은 지정된 대피소로 이동해 달라"고 말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많은 비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정부는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에도 많은 비가 내려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17일 오전 6시 53분 밤사이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 서대문구 증산교 하부도로가 양방향 통제됐다. 이어 서울시내 하천 28곳이 모두 출입 통제됐다.
도봉구 방학천은 수위가 적정 수준을 넘어 나뭇가지·돌 등 부유물이 산책로·자전거 도로를 덮기도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서울에는 19일까지 강한 비가 내릴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