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으로 제약·바이오 산업 전반에 정책 변화가 예상된다.
공약에 따르면 새 정부는 제약·바이오 분야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규정하고 민간 투자를 끌어내기 위한 기반 조성을 진행한다. 정부 주도의 연구개발(R&D)과 공급체계 재정비를 제시했다.
R&D 투자 활성화를 위한 약가관리제도 통합·예측가능성 개편과 투자비율 연동형 약가보상체계 구축도 공약했다. 중소 제약사의 투자 위험부담을 줄이고 신약 개발 유인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AI·바이오 기술 접목 신약개발도 지원한다. 디지털 기반 임상시험·빅데이터 분석 기술 활용 고도화 전략을 제시했고 국산화율이 낮은 분야에 대한 집중 지원을 예고했다.
혁신형 제약기업에 대한 인증제도도 개선된다. R&D 투자 비중과 생산 실적을 반영한 평가 기준이 마련되며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 기업에는 맞춤형 지원이 제공된다.
필수의약품 수급 불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공약했다. 품절 대란 품목 생산설비를 지원하고 국산 원료 사용을 확대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공공 유통 구조를 정비하고 안정적인 조달 체계를 갖추겠다는 계획이다.
이어 국산 백신과 치료제·진단키트 등 개발에 필요한 기술력 확보와 생산 역량 유지를 지원할 방침이다.
차세대 백신 플랫폼에 대한 연구도 강화된다. mRNA·합성항원기술 등 백신 기술 투자를 확대하고 팬데믹에 대비한 국제 공동 대응 체계도 정비한다.
새 정부는 백신 자립도와 공급 안정성을 높이고 중소 바이오기업의 성장 기회를 넓힌다는 입장이다.
다만 민주당 산하 더미래연구소가 2020년 분석보고서를 통해 제네릭 의약품 가격 규제 필요성을 언급한 만큼 의료비 절감 정책의 시행 방향에 따라 제약·바이오 업계 상황도 움직일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