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MS는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해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하는 차세대 기술이다. ⓒ SNE리서치

전기자동차 화재를 막을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고도화 논의가 배터리 업계와 자동차 업계 간 이견으로 진척되지 못하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전기차의 고도화된 BMS 내재화에 대한 보조금 지급 정책 논의가 최근 중단됐다. 차 제조사와 배터리사 간 의견 정리가 되지 않은 탓이다.

현재 BMS는 온도 등 배터리의 기본 상태만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화재를 완벽히 막기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정부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배터리 성능·수명·전압 상태·내부 저항·셀 불균형 등 세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고도화된 BMS를 빠르게 개발·적용하기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하지만 업계 간 갈등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문제는 '누가 고도화된 BMS를 만들어 공급하느냐'다. 배터리사는 자신들이 기초 BMS를 공급하기에 업그레이드해도 배터리사가 주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배터리를 개발, 생산하는 하드웨어 역량과 관련 프로그램을 만드는 소프트웨어 역량이 별개가 아니라는 주장을 하며 차 제조사에 배터리 관련 운행 정보 등을 공유를 요구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한 정보를 취득하고 연구해 온 건 자동차 사라는 것이다.

배터리 제조에 관한 기술 역량도 부족하지 않다는 게 현대자동차·기아 등의 판단이다.

배터리를 납품하는 순간 관련 정보의 소유권은 차주와 자동차사에 있다는 것도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핵심 논리다. 자동차 업체들은 차주에게서 '제3자 정보 동의'를 받아 전기차와 배터리 정보를 축적하고 있다.

BMS 갈등은 미래 시장 주도권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글로벌 자동차사는 배터리 내재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배터리 관련 정보를 독점하는 건 자동차사로선 중요한 무기가 될 수 있다.

BMS가 고도화되고 인공지능이 도입되면 로열티 개념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갈등 요인으로 거론된다. BMS 사용자가 제조사에 비용을 지급해야 하기에 고도화 BMS의 개발 주체는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