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국토부·환경부 탄소중립컨퍼런스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국토교통부, 환경부는 4일 '탄소중립도시 컨퍼런스'를 열었다.
탄소중립도시 컨퍼런스는 도시 차원에서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적인 도시 설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탄소중립도시는 온실가스 감축 관련 계획·기술 등을 적극 활용해 탄소중립을 공간적으로 구현하는 도시를 말한다.
이날 컨퍼런스에는 도시·환경 관련 연구기관과 학계 전문가, 업계 관계자 등 100명이 참여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을 위한 당면과제·추진방향'을 주제로 진행됐다.
컨퍼런스에서는 △종합적·거시적 도시계획 접근 방법론 △도시 개발 단계별 세부 추진 전략 △일본 등 해외의 탄소중립도시 조성 사례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은석 건축공간연구원 탄소중립센터장은 '기후 위기 대응력 강화를 위한 탄소중립도시 계획 방안'을 통해 탄소중립도시의 필요성과 관련 계획 방안을 제시했다.
이승일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단기·장기 전략을 통해 도시를 탄소 중립적으로 개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세부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봉석 그린디지털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일본의 탄소중립도시 추진 사례 소개'를 통해 한국의 탄소중립도시 조성을 위해 지자체, 업계, 학계의 협업과 지속적인 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은 △최봉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장 △최병길 국토부 도시활력지원과장 △마재정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과장 △정승현 건설기술연구원 연구위원 △박창석 한국환경연구원 선임연구원 △최정석 중부대 교수 △김정곤 어반바이오공간연구소 소장이 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에 필요한 정책 방안을 공유했다.
참가자들은 도시 단위의 저탄소 전환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데 공감했다.
탄소중립도시 컨퍼런스는 도시 단위의 탄소 저감과 에너지, 건물, 교통 등 분야별 세부 전략 마련에 필요한 과학적 기반과 정책적 영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리로 평가되고 있다.
한화진 탄소중립녹색위원회 공동위원장은 "탄소중립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치밀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기후 위기를 완화할 수 있도록 탄녹위의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