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추진하는 '에너지자립 고속도로 사업'이 목표 완공일 보다 5년이나 미뤄지는 등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진보당 윤종오 의원(국토위)이 도공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까지 고속도로 관리·운영에 필요한 모든 전기를 100% 신재생에너지로 생산하겠다는 '에너지자립 고속도로 계획'을 발표했지만 실제 발전량은 목표량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도공은 목표 달성이 어려워지자 지난해 12월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계획을 새롭게 수립하면서 목표 달성을 2030년으로 연기했다.
도공이 발표한 사업 추진계획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계획량은 246GW이고, 실제 생산량은 240.6GW으로 목표를 97.8%를 달성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 생산량은 대부분 도공이 신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 고속도로 유휴부지나 휴게소 주차장에 태양광을 설치하도록 임대해서 생산한 것이다.
도공은 자산임대형 재생에너지 발전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한 분야로 1.6GW로 생산량의 0.67%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2017~2023년까지 도공이 전기요금으로 납부한 금액은 5241억원인데 반해 자산임대 사업으로 얻은 사업수익은 183억원에 불과하다.
도공이 사업을 추진한 이후 태양광이 설치된 휴게소는 209곳 가운데 45곳으로 21%에 불과하다.
윤종오 의원은 "전기요금 감소와 공공기관의 선도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자체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해 보인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