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 ⓒ 의원실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농해수위·경북영천청도)은 농협 상호금융의 부실한 대응 체계가 지역 농·축협을 '보이스피싱 사각지대'로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일 이만희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 보이스피싱 발생 현황은 2019년 3만7667건, 6398억원에서 지난해 1만8902건, 4472억원으로 피해 건수와 피해액 모두 1.4배 감소했다.

그러나 상호금융은 2022년 281억원에서 지난해 421억원으로 1.5배 증가했다. 40~50대의 피해가 두드러졌고 60대 이상 고령층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20~30대의 피해 건수와 금액도 지난해 대비 2배 이상 급증하며 전 연령대에 피해가 확산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에서 2161건의 피해가 발생해 가장 많았고 경북(908건), 경남(890건) 등이 뒤를 이었다.

평균 피해액은 서울이 54억130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대전(47억6000만원), 경기(39억6800만원) 등으로 도시 농협의 피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은 평균 783개 지점에 보이스피싱 예방 모니터링 직원 13.8명을 배치하고 있다.

반면 상호금융은 4700개에 달하는 단위조합을 단 10명의 직원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마저도 대부분 2년 미만 경력의 비정규직 직원들로 시중은행의 3~5년 이상 경력의 모니터링팀과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이만희 의원은 "상호금융은 보이스피싱 예방 투자를 소홀히 해 고객을 범죄에 무방비로 노출시키고 있다"며 "인력 충원, 정규직화를 통한 숙련도 향상 시스템 개선 교육 강화 등 구체적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