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기술보증기금이 간부들의 잇따른 음주운전 적발에도 오히려 징계 수위를 낮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성희롱, 출장비 부당 청구 등도 잇따라 기강 해이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7일 국민의힘 강승규 의원(산자위·충남홍성예산)이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 상반기까지 10명의 기보 임원·간부들이 성희롱과 신체접촉, 음주운전 등으로 징계를 받았다. 기보 직원 1450여명 가운데 임원은 7명뿐이다.
기보에선 지난해에만 간부 5명이 음주운전으로 정직 처분을 받았다. 4명은 면허 취소에 해당하는 만취 상태였고 1명은 면허 정지 수치였다.
한 임원은 성희롱 발언과 신체접촉으로 면직 처분을 받기도 했다. 기보는 당시 임원 비위 행위 적발을 계기로 내부 단속을 강화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올 상반기 한 간부가 음주운전으로 면허정지를 당하자 기보는 지난해 정직에 비해 약한 징계인 감봉 처분을 내렸다.
기보 관계자는 "이전 사례들과 달리 올해 건은 지하 주차장 밖으로 차를 끌고 나와 대기 중 적발돼 타인에 피해가 없었다"며 "자진 신고한 부분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음주운전 밖에도 비위 행위는 기보 내부에서 끊이지 않고 발생했다. 지난해 말에는 3급 간부 3명이 출장비를 부당하게 청구한 사실이 밝혀져 정직과 견책 처분을 받았다.
이 가운데 한 간부는 100만원 단위의 출장비를 허위 청구한 사실이 드러나 4배 금액에 대한 환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기술보증기금의 비위 문제는 이번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2020년에는 간부들이 성희롱 사건으로 정직 처분을 받았고, 2021년에는 금품을 수수한 간부들이 면직되기도 했다.
2022년에도 성희롱 사건으로 인해 감봉과 정직 처분이 내려졌다.
강승규 의원은 "최근 5년간 성희롱, 금품수수, 음주운전 등으로 기술보증기금 임직원이 징계를 받은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며 "올해에도 음주운전 간부가 적발된 것은 공공기관 내부 기강이 여전히 무너져 있음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기관들의 기강을 바로잡기 위한 시스템 전반의 보완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성비위·음주' 산림청 공무원 징계 1년새 4배나 늘었다
- 공식유튜브에 '미성년자 성 상품화' 반복된 한국마사회 '성 논란'
- 구리시, 공무원 과태료 눈 감아주고 3500건 멋대로 삭제
- 음주운전 가장 많은 부처 1위는 '경찰청', 2위는?
- 냉면 그릇에 술 강요 … 복지부 공무원 갑질·폭언 논란
- 회사 명의 도용에 스토킹까지 … 한수원 기강 해이 '심각'
- 영천시 전·현직 간부공무원 '비위' 혐의 … 감사 돌입
- 문 전 대통령 딸 음주운전 … '면허 취소' 수준
- 대한항공 종사자 음주적발 '1위'
- 성희롱 해임된 원장에 '성과급' 지급한 예치원
- 강원랜드 직원 입장권 판매대금 빼돌려 도박 '탕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