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이 항콜레스테롤 약제 에제티미브가 폐섬유증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김송이 교수·이찬호 강사, 곽세현 용인세브란스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배수한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교수. ⓒ 세브란스병원
▲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이 항콜레스테롤 약제 에제티미브가 폐섬유증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김송이 교수·이찬호 강사, 곽세현 용인세브란스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배수한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교수. ⓒ 세브란스병원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이 17일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가 에제티미브를 복용하면 사망 위험이 최대 62%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원인이 명확한 폐섬유증 외에 일부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로 진단 후 기대 생존기간이 2~4년 정도로 짧은 난치성 질환이다.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 김송이 교수·이찬호 강사, 곽세현 용인세브란스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교수, 배수한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교수가 연구한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 호흡기 저널'에 게재됐다.

이 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는 자가포식 기능이 떨어져 있다는 점에 착안했다.

자가포식이란 세포가 세포 내 특정 물질이나 세포소기관을 분해하는 과정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세포소기관이나 단백질이 과도하거나 망가졌을 때 세포가 이를 분해해 영양소와 에너지를 보충하는 현상이다.

에제티미브는 저밀도 지단백질(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기 위해 고지혈증, 심근경색 환자에게 주로 사용하지만 자가포식을 활성화한다는 효과도 밝혀졌다.

에제티미브가 세포 콜레스테롤을 조절하면 세포 생리 현상에 관여하는 mTORC1 효소를 분비하며 자가포식을 활성화시킨다. 이 자가포식 활성화는 섬유화를 일으키는 SRF 단백질을 제거했다. 이러한 과정은 마우스 모델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에제티미브가 폐섬유화를 억제하는 과정. ⓒ 세브란스병원
▲ 에제티미브가 폐섬유화를 억제하는 과정. ⓒ 세브란스병원

연구팀은 에제티미브를 복용한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 529명을 △피르페니돈만 복용한 그룹 △에제티미브만 복용한 그룹 △피르페니돈과 에제티미브를 함께 복용한 그룹으로 나눠 치료 결과를 살폈다.

에제티미브 그룹, 피르페니돈·에제티미브 그룹은 피르페니돈 그룹과 비교했을 때 사망 위험이 각각 62%, 45% 낮았다.

또 피르페니돈 복용 환자 중 에제티미브 복용에 따라 폐활량과 기체 확산 능력을 비교했을 때 에제티미브를 복용하면 폐 기능 감소를 최대 60% 억제할 수 있었다.

이찬호 강사는 "폐섬유모세포에서 자가포식을 활성화시켜 SRF 단백질을 제거하는게 폐섬유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라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 분석 등 후속 연구를 통해 에제티미브의 효과 확인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