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는 행동 분석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서비스를 경기도 발달장애지원센터 3개의 기관에서 시범 운영한다.
11일 SKT에 따르면 시범 운영하는 AI 기반 행동 분석 서비스는 딥러닝 기반 비전 AI 기술과 포커스 H&S의 영상 관제 솔루션을 활용해 발달장애인들의 도전적 행동을 분석한다.
또한 SKT는 이를 행동 전문가들에게 제공해 도전적 행동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전적 행동은 자해나 타해 등 본인이나 타인의 신체적 안전을 해할 가능성이 있는 행동이다.
기존 돌발적 행동에 관찰·분석이 쉽지 않았지만 SKT의 AI 기반 행동 분석 기술은 자해, 쓰러짐, 배회 등 9가지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해당 행동에 대한 빈도수와 행동 패턴 등의 데이터를 생성·기록할 수 있다.
경기도는 SKT의 AI 발달장애인 돌봄 서비스를 통해 AI 행동분석 서비스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AI 돌봄 서비스의 효과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AI 발달장애인 돌봄 서비스는 안산시장애인복지관, 행복한길장애인주간보호센터, 의왕시장애인주간보호시설 등 3곳에서 운영될 예정이다.
SKT 관계자는 "경기도와 발달장애인 돌봄 데이터에 기반한 중재 계획을 세워 복지 현장에 있는 전문가들과 협업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강세원 SKT 강세원 ESG추진 담당은 "민관협력을 통해 발달장애인 돌봄 분야에 비전 AI 기술을 접목해 ESG 서비스를 혁신하고 있다"며 "발달장애인과 가족, 돌봄 관계자 모두가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