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기관의 공공 입찰과 청년정책 정보를 한번에 볼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이 출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대통령 산하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에 흩어져 있는 공공 입찰공고를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와 다양한 청년 정책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이번달부터 개시한다고 5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국민과 기업, 정부가 공공 서비스를 혁신하기 위해 추진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국민드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난해 8월부터 준비해왔다.
기업입찰 맞춤형 서비스는 기업들이 다양한 기관의 공공발주 사업과 기업 지원사업(민간공모·연구개발·바우처 등) 등 흩어져 있는 정보를 탐색하는 데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요하는 등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됐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기업들은 2000여개 기관의 입찰·지원공고를 하나의 민간 플랫폼에서 통합 조회하고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 받을 수 있다.
기업들이 정보 탐색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공공분야 진입장벽을 낮추고 실질적인 사업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정책 맞춤형 서비스도 선보인다. 2600여개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등에서 제공하는 청년정책 데이터를 일단위로 수집해 가구수, 소득, 지역 등 청년의 다양한 상황을 반영한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개인상황이나 정책여건에 변화가 있으면 자동으로 알림이 발송돼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준다.
해당 서비스는 다양한 민간 플랫폼과 연계해 제공된다. 기업입찰 맞춤형 서비스는 30만 회원사를 보유한 NICE평가정보 플랫폼에서 동시 제공되고 청년정책 맞춤형 서비스도 KB Pay 플랫폼과 연계해 지난달부터 시범으로 선보였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 위원회 위원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 국민드림 프로젝트에 참여해준 관계기관, 기업 등에 감사드린다"며 "AI,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조속히 구현해 생활 편의와 기업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강도현 과기부 2차관은 "기업과 청년을 위한 많은 지원책들이 마련됐지만 정책이 공급자 중심으로 제공돼 정보의 홍수 속을 헤매야 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과 청년들이 마음껏 역량을 발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