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이 올해 은행 중점 감독과 검사 분야로 지배구조와 내부통제를 꼽았다. ⓒ 금감원
▲ 금융감독원이 올해 은행 중점 감독과 검사 분야로 지배구조와 내부통제를 꼽았다. ⓒ 금감원

금융감독원이 올해 은행 중점 감독과 검사 분야로 지배구조와 내부통제를 꼽았다.

금감원은 지난 12일 2024년 은행 부문 금융감독 업무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금감원은 올해 위험 요인으로 가계·기업 등 취약부문 부실 위험을 꼽으면서 시스템 리스크 확대에 대비한 관리·감독 강화 방침을 밝혔다.

금감원은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제도를 내실화한다.

건설업 등 취약업종과 부채 과다기업에 대해 신용위험평가를 하고 주채무계열을 평가하기로 했다.

국내 은행의 외화유동성 스트레스 테스트를 고도화하는 등 외환리스크 관리도 강화한다.

대손충당금 적립 수준과 부실채권 상·매각 관리계획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은행의 자산건전성 관리 강화를 유도한다.

경기대응완충자본과 스트레스테스트 결과에 따른 은행별 차등적 추가자본 부과도 추진한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단계적 정상화를 추진하고 지주 유동성 규제 도입을 통해 글로벌 건전성 규제에 대응할 예정이다.

내부통제 점검과 대응을 강화하고 상시 모니터링 체계도 구축한다.

지배구조 가이드라인(best practice) 반영 현황을 점검해 지주·은행의 건전한 지배구조 정착도 유도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충현 금감원 부원장보는 "은행산업의 진정한 밸류업을 위해선 지속적이고 책임 있는 혁신이 필요하다"며 "투명한 지배구조와 내부통제 확립을 통해 시장의 신뢰를 확보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