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24 재난관리기금 운용 정책'을 수립했다.
도는 재난 대응과 복구 등에 한정돼 사용했던 재난관리기금을 재난 '예방'과 '대비' 사업까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도·시·군 소관 시설까지 확대 지원하도록 기금 운용 방침을 바꿨다고 15일 밝혔다.
도는 올해 재난취약시설 개선에 지난해 대비 370억원 늘어난 557억원을 집중투자 한다.
예방과 대비까지 재난관리 전 과정으로 넓히는 '기후위기 대응 전략 사업'으로 현재 추진하고 있는 사업은 △지하차도 자동 진입 차단시설 설치 △하천변 차단장치 설치 등 8개 사업이 있다. 또 풍수해 관련 사업은 우기 전까지 사업을 완료한다.
도 기금은 도 관리 시설에 한정돼 지원하다 보니 시군 소관 시설의 경우 재정 여건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군 소관 공공시설에도 신규 확대 지원한다.
올겨울 이후 제설취약구간으로 판단되는 시·군 관리 도로에도 자동염수분사장치 설치 등을 신속하게 추가 지원한다. 또 갑작스러운 재난피해가 발생했을 때 긴급조치에 사용할 재난관리기금과 재해구호기금도 편성했다.
오병권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새해부터 재난관리기금 운용 정책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면 전환했다"며 "8개 사업 557억원을 투자하는 기후위기 대응 전략사업으로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김나은 기자
kneji01@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