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네이버 이용자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 2차 정기회의를 열고 다크패턴(Dark Pattern) 방지책을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
다크패턴은 이용자의 비합리적 지출과 착각을 유도하기 위해 설계된 온라인상의 화면 배치를 말한다.
박우성 네이버 포워드랩 책임리더는 다크패턴 방지를 위한 전사 교육을 소개했다.
김성규 커머스&운영팀 리더는 네이버의 허위 리뷰 대응 노력 등을 소개했다. 고도화되는 조회수 조작(어뷰징)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과 리뷰 대행 플랫폼 모니터링 체계 구축 계획 등도 설명했다.
자율규제위는 다크패턴 체크리스트를 통한 네이버 신규 출시 서비스 점검을 제안했다.
또 리뷰 클렌징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기술 투자와 인공지능(AI) 학습을 통한 허위 리뷰 탐지 모델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 투자도 주문했다.
권헌영 네이버 자율규제위원장은 "이용자 보호 선도 사례로 네이버의 다크패턴 방지책 효과를 측정해 내년 발간할 위원회 보고서에 담을 것"이라며 "다크패턴 방지 활동과 허위 리뷰 정책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를 측정해 네이버의 노력이 글로벌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예나 기자
shinyena@safetimes.co.kr
관련기사
- 최수연 네이버 대표, 마약 근절 '노 엑시트' 캠페인 동참
- 네이버 출입증으로 매장 입장부터 결제 '한번에' 가능해진다
- 네이버페이, 마이데이터 기반 '내 보험 분석' 출시
- 네이버 블로그 '20년' … 3300만 블로그에 발행된 글 28억 건
- 네이버페이 머니·포인트로 '삼성페이' 결제 가능해진다
- 네이버, 상표권·저작권 침해 한 번에 신고할 수 있는 '권리보호센터' 신설
- 최수연 네이버 대표 "프로젝트 꽃이 성공모델로 자리잡은 것은 직원들 덕분"
- 네이버, 개인정보보호 연구 결과 담은 '2023 프라이버시 백서' 발간
- 서울 5성급 호텔 90% '가격 눈속임' … 최종가 확인 필수
- "OTT, 가입 쉬운데 해지 어려워" … 구독자 60% '불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