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동안 갯벌에서 조개 등을 채취하다 고립되거나 물때를 확인하지 못해 발생한 갯벌사고 사망자가 3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어기구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당진)이 27일 해양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갯벌사고는 282건 발생했고 사망자는 30명에 달했다.
올해에도 갯벌사고는 지난 8월 말 기준 43건이 발생해 모두 8명이 사망했다.
갯벌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지만 일선 현장의 치안과 안전을 담당할 해양경찰 지방관서의 정원 대비 현재 인원은 매년 과부족이 나타나고 있다.
해양경찰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211명을 증원했지만 지난해 말에도 정원 대비 비현업부서의 인원은 193명 많고 현업부서의 인원은 393명이 부족해 과부족이 계속된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 치안과 가장 밀접한 곳에 설치된 출장소는 2017년 상주형 148곳, 비상주 87곳에서 올해 상주형 41곳, 비상주형 190곳으로 상시 근무하며 현장의 치안과 안전을 확인해야 할 상주형 출장소 수가 크게 준 것으로 드러났다.
어기구 의원은 "갯벌사고가 매년 다발하고 있어 현장 안전관리에 빈틈없이 준비해야 한다"며 "현장 중심의 인력과 출장소 배치로 일선 현장의 치안과 안전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주헌 기자
jjhkim5012@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