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솔루션·트렌드 아시아, 사업 우려 표명
국제사회가 기후위기를 직면하며 온실가스 감축에 한 뜻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인도네시아 정부와 대규모 가스전 개발 계획을 발표하자 탄소중립 역행에 역행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 기후단체 기후솔루션(SFOC)과 인도네시아 환경단체 트렌드 아시아(Trend Asia)는 21일 공동 보도자료를 내고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인도네시아 신규 가스전 탐사 사업에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지난달 25일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회사 '페르타미나 훌루 에너지(PHE)'와 '붕아 가스전' 생산물 분배 계약을 체결하며 이 지역에 대한 향후 6년 가스 탐사와 30년 개발·생산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자바섬 동부 해상에 위치한 붕아 광구는 면적 8500㎞², 수심 50~500m으로 13억배럴 가량의 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이 1년에 태우는 가스 소비량 3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번 탐사로 신규로 개발될 가스전 사업이 최장 2060년까지 운영될 것이란 계획에 기후환경단체들은 우려를 표명하고 나섰다.
앞서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2021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 26)에서 2030년까지 세계 메탄 배출량을 최소 30% 이상 감축하자는 결의에 동참하기로 약속했다.
트렌드 아시아 노비타 인드리(Novita Indri) 캠페이너는 "이번 협력은 인도네시아를 향후 탄소 다배출 국가로 고착시키고 세계 기후 재앙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천연가스는 종종 청정에너지로 불리지만 2019년 천연가스 연소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은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5분의 1을 차지할 만큼 높았다"고 경고했다.
이어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세계가 화석 연료에서 벗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좌초 자산 위험에 빠지는 시대착오적 결정 대신 기술 전문성을 활용해 재생 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기술에 투자함으로써 에너지 전환을 선도할 수 있다"며 "포스코가 화석연료 확대를 중단하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힘쓸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오동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천연가스 생산 확대는 신규 온실가스 배출로 이어져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국제 메탄 협약 이행과 국가 기후 목표 달성을 위태롭게 만들 것"이라며 "하지만 한국의 석유·가스 대기업은 현재 고가의 검증되지 않은 탄소포집저장(CCS)과 블루 수소·암모니아 기술 등 위험한 수단을 이용해 아시아에서 가스 수요 유지를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