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비자원은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 세이프타임즈 DB
▲ 한국소비자원은 수상레저 활동 시 안전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 세이프타임즈 DB

한국소비자원이 수상레저 활동이 증가하면서 안전사고도 급증, 주의보를 발령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수상레저 안전사고는 166건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수상레저 안전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시기별로는 6~8월이 42.8%로 가장 많았고 9~11월이 33.2%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4.6%, 30대가 26.7%, 40대가 10.8%로 나타나는 등 대부분 20대~40대에서 발생했다.

수상레저기구별로는 '서프보드'가 59.0%로 가장 많았고 이어 수상스키 9.7%, 웨이크보드 4.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수상레저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소비자원
▲ 수상레저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소비자원

서프보드는 서핑 중 넘어지면서 부딪히는 사고가 80.6%이었고, 수상스키는 이용 중 견인하는 보트나 장비 등에 부딪혀 다치는 사고가 50.0%을 차지하는 등 물리적 충격에 의한 사고가 많았다.

위해부위별로는 머리·얼굴이 40.4%로 가장 많았고 이어 둔부, 다리·발이 20.5%, 팔·손 16.9%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은 찢어짐 사고가 34.9%으로 가장 많았고 골절 21.7%, 타박상 15.7% 등의 순으로 많았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수상레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수상활동 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를 착용하고 수상활동 전 장비점검을 해야 한다"며 "수상레저 활동 금지구역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