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과 관련해 경쟁제한 우려를 제기하며 합병에 난항을 겪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과 관련해 경쟁제한 우려를 제기하며 합병에 난항을 겪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과 관련해 경쟁제한 우려를 제기하며 합병에 난항을 겪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EU 집행위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합병하면 시장 경쟁이 제한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중간심사보고서(SO)를 대한항공에 전달했다.

EU 집행위는 "양사가 기업결합을 하면 프랑스·독일·이탈리아·스페인 간 4개 노선에서 승객 운송 서비스 경쟁이 위축될 수 있다"며 "유럽 전역과 한국 간 화물 운송 서비스 제공 경쟁을 위축시킨다"고 SO 통보 배경을 설명했다.

EU는 보고서 승인 조건으로 EU 주요 4개국 노선에 동시 취항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한국국적 항공사에 양사가 보유한 운수권(슬롯) 일부를 양도할 것을 요구했다.

두 기업이 합병 후 유럽을 오가는 4개 노선에서 여객 운송 서비스를 독점할 우려가 있다는 취지에서다.

이에 대한항공은 EU 측에 SO에 대한 답변서를 제출해야 한다. 2년간 합병 자문료에 1000여억원을 쓴 대한항공은 EU의 승인을 얻기 위해 유럽 4개국 노선 슬롯 일부를 포기해야 하는 것이다.

EU는 지난 2월부터 양사의 기업결합 2단계 심층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EU는 대한항공의 답변서 등을 종합해 오는 8월 3일 최종적인 합병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문제는 현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을 제외한 국내 항공사 가운데 유럽 노선에 취항할 수 있는 대형기를 보유한 곳은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 두 곳뿐이다.

대한항공은 에어프레미아, 티웨이항공 측과 협상을 통해 경쟁 구도를 확립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가운데 한 곳과 유럽 현지 항공사 일부에 슬롯을 양도하는 절충형 방안도 해법으로 거론된다.

실제 지난 3월 영국 경쟁당국(CMA)이 양사 합병을 승인할 당시 대한항공은 런던 히스로공항 7개 슬롯을 영국 항공사 버진애틀랜틱에 넘기는 방안으로 독과점 쟁점을 풀어내기도 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조사 발표는 통상적 절차"라며 "기업결합심사 완료를 위해 미국, EU, 일본 3개국 경쟁당국과 긴밀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