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비자들이 스팸문자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가운데 2022년 하반기의 680만건 스팸 문자 중 220만건(32.9%) 이상이 'KT'를 통해 발송된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17일 "KT에 가입한 소비자들은 하루에도 수차례씩 스팸 문자가 쏟아져 고통받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3월 31일 발표한 2022년 하반기 스팸 유통현황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 대비 스팸문자의 수가 LG유플러스는 큰 폭의 감소치를 보인 반면, KT는 여전히 스팸 문자 발송량이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KT는 225만6581건(32.9%)을 기록했는데, 40만건의 LG유플러스와 비교해 5배가 넘는 수치다.
2022년 하반기 국내발송 스팸 문자는 685만9133건이다. 국내외에서 대량문자서비스를 통해 발송된 765만3612건 대비 85%를 차지한다. 상반기 680만4923건보다 5만4210건이나 증가한 수치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대량문자발송을 통한 스팸량은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올해 대량문자발송서비스를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불법 스팸으로부터 국민의 삶을 지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관계자는 "대량문자발송서비스를 통해 발생하는 불법 스팸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불법 스팸 문자 사업자들을 철저히 단속하고, 처벌 수위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업계는 지속적이고 철저한 모니터링으로 불법 스팸 근절을 통한 소비자 피해 예방에 책임 있게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