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플라나(PLANA)와 통신 기반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데이터 전송 공동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고 13일 밝혔다.
국내 UAM 기체 스타트업인 플라나는 국내 유일 하이브리드 기반의 수직이착륙(VTOL) 전기 추진 항공기 개발 기업이다.
플라나 기체는 차세대 항공연료인 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이용해 기존 헬리콥터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을 80% 이상 저감하는 것이 특징이다.
경기도 이천시 플라나 R&D센터에서 열린 협약식에 전영서 LG유플러스 기업서비스개발Lab장과 김재형 플라나 대표 등 여러 관계자가 참석했다.
양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UAM 교통관리 플랫폼과 기체 간의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하고 UAM 교통관리 플랫폼과 연동한 실증 운항 데이터를 공동 확보해 나간다.
양사는 항공용 통신 기술을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확보하고 항공 전자장비와 교통관리플랫폼 간 실시간 항적, 기체상태·기상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기술을 연구·개발해 나간다.
또 UAM 교통관리 플랫폼을 활용해 UAM 항공기가 목적지로 이동하는 통로인 회랑 내 교통 관리나 충돌 회피 등 도심항공교통 관리 역량을 검증한다.
동시에 기체의 비행 데이터와 고고도 5G·LTE 커버리지 데이터 등 실증 운항 데이터도 확보해 나간다.
전영서 LG유플러스 담당은 "국내 유일의 장거리 하이브리드 기반 수직 이착륙기를 개발하는 플라나와의 협력은 UAM 생태계 발전에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예나 기자
shinyena@safetimes.co.kr
관련기사
- LGU+, 중소 알뜰폰 전문매장 '알뜰폰+' 전국 확대
- LGU+ 두 차례나 접속 장애 … "디도스 공격 추정"
- LG유플러스, 카카오 캐릭터 '춘식이' 키즈폰 단독 출시
- LGU+ '스포키' 출시 3개월 만에 이용자 500만 돌파
- LG유플러스, 네이버와 미디어 서비스 강화 나선다
- LGU+, 통신비 부담 완화 위해 '모바일 데이터 추가 제공'
- LGU+, 국내 1위 환경폐기물 처리장에 '스마트 안전 솔루션' 공급
- 삼성화재-모비에이션-유아이엘리제트 '도심 항공 모빌리티' 업무협약
- LG U+, 국내 1위 로봇자동화 기업과 맞손 … 로봇 사업 '강화'
- LG U+, 서울 지하철 9호선 'LTE-R' 구축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