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친환경 정책을 내세우며 공공기관의 친환경차 의무구매비율을 확대했지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해외무역관은 친환경차가 아닌 고급차를 사는데 절반이 넘는 예산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양금희 의원(국민의힘·대구북구갑)이 코트라로부터 제출받은 관용 차량 보유내역에 따르면 해외무역관 관용 차량 116대를 구입하는데 지출된 518만달러 가운데 고급 차량(해외 브랜드·3000cc이상 대형 세단·SUV) 구입에 265만달러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차 구매 예산 265만달러 가운데 198만달러가 문재인 정부 시절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다.
문재인 정부가 친환경 정책을 확대하는 이면에 해외무역관들은 고급 차량 구입으로 정부 정책과 동떨어지며 외화 낭비를 일삼아 왔다는 지적이다.
국가별 친환경차 인프라 차이가 존재하는 현실을 고려할 때 해외무역관에서 실질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배기가스 저감 장치가 장착된 차량으로 구매 가격은 4만달러다.
해외무역관들이 구입한 고급 차량 가격들의 평균 가격은 5만4000달러로 대부분 친환경차와 가격이 비슷하거나 웃도는 가격이었다.
해외무역관들이 의지를 가지고 친환경차를 구매했다면 '공공기관 친환경차 의무구매'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음에도 고급 차량 구매를 통해 실적 달성 실패와 과도한 외화낭비가 발생했다.
양금희 의원은 "공공기관이 정부 구매 지침을 계속 위반하는데도 적극 관리하지 않는다면 공직기강 해이는 물론 불필요한 세금 낭비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며 "정부는 해외 소재 기관들의 정부 정책 실적 관리를 강화하고 코트라는 불필요한 외화낭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공직기강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